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지역화폐를 쓰다⑩]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매출↑ 수수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1-28
지난 2019년 4월 발행된 경기지역화폐. 이제는 많은 사람이 애용하는 화폐가 됐다. 이유는 경기지역화폐를 받는 가맹점이 늘어나고 ‘배달특급’ 앱 등에서도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경기지역화폐가 흥행하게 된 데는 사용처인 가맹점(10억 미만 매출 업소) 수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역화폐가 발행된 지 2년이 가까워지는 지금. 지역화폐 가맹점은 얼마나 늘었을까? ■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등록, 선택 아닌 필수
지난해 7월 2일부터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카드형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업소의 대표자라면 가맹점 등록 신청을 반드시 해야 한다.  ⓒ 경기뉴스광장


지난해 7월 2일부터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카드형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업소의 대표자라면 가맹점 등록 신청을 반드시 해야 한다. 다만 지류형이나 모바일형 지역화폐 가맹점은 이미 신청을 받아 가맹점으로 등록이 됐기 때문에 추가 신청이 필요하지 않다. 경기도에는 가맹점 대상 업소가 총 54만9,124개소가 있다. 1월 18일 기준으로 17만6,737개소가 등록 완료했다.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난 몇몇 시·군을 살펴보면 성남시의 경우 2만5,274개소 중 1만6,624개소가 등록해 등록률 65.78%를 달성했다. 이어 양주시가 1만270개소 중 57.65%인 5,921개소가 등록 완료했으며 이외에도 연천군이 1,295개소 51.86%, 화성시가 1만6,078개소로 45.08%의 목표를 달성했다.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등록은 지역화폐 홈페이지(http://with.konacard.co.kr/gateway/1) 및 경지역화폐 앱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등록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이 되면 지역화폐를 사용하려는 소비자들의 방문이 증가해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이 되면 지역화폐를 사용하려는 소비자들의 방문이 증가해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경기지역화폐를 쓰면 경제적 혜택이 크기 때문에 당연히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으로 발길이 향할 수밖에 없다. 경기지역화폐 사용자는 구매금액 6~10%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6%는 상시 적용되며 명절 등 특별 이벤트로 10%를 적용하기도 한다. 아울러 현금영수증 발행 또는 30%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개인사업자가 사업 목적으로 지역화폐를 사용했을 경우 세액 공제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도내 소상공인이라면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에 등록하는 것이 매출을 늘리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지역화폐 가맹점이 되면 신용카드 대비 0.3% 결제수수료가 절감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매출 수수료 1%라는 파격적인 혜택도 누리게 된다. 지역화폐 가맹점 입장에서는 결제수수료와 매출수수료 등을 한 번에 아낄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

배달특급이 2월 말 포천시를 시작으로, 3월 수원시와 김포시 등으로 확대될 계획으로, 경기지역화폐를 이용해 배달음식을 즐기는 소비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 경기뉴스광장


최근에는 배달특급 시범 서비스가 시작된 화성, 오산, 파주 지역 소상공인들이 코로나19로 어려운 가운데 배달특급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배달특급’을 통해 시킨 음식을 경기지역화폐로 결제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매출 증가에 큰 덕을 보고 있는 것. 더욱이 배달특급이 2월 말 포천시를 시작으로, 3월 수원시와 김포시 등으로 확대될 계획으로, 경기지역화폐를 이용해 배달음식을 즐기는 소비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아직 지역화폐 가맹점에 등록하지 못한 자영업자라면 망설이지 말고 등록을 서두르자. ※ 가맹점 등록 문의: 1600-0836 또는 각 시군 지역화폐 담당부서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독립야구단 프로 진출 선수 간담회
이전글 [카드뉴스] 경기도 선제검사 70여만 건 실시…“무증상 집단감염 막았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