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끈질긴 문화재 사랑, 도민들이 응답하실 차례입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9-17
경기도는 지난해 12월부터 근대문화유산을 발굴하고 보존하는 ‘광역 시·도 등록 문화재 제도’를 시행했다. 지난 2017년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기도청 구관의 모습.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만약 당신이 늘 드나들던 건물이 문화재? 할머니 댁에서 무심코 흘려보던 물건이 문화재? 이런 재미난 상상이 현실로 이뤄졌다. 바로 지난해 12월부터 근대문화유산을 발굴하고 보존하는 ‘광역 시·도 등록 문화재 제도’가 시행됐기 때문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기까지 2015년부터 5년간 불철주야 노력해온 공무원이 있다. 바로 경기도 문화유산과의 김선미 학예연구사다. 2003년도부터 문화재 관련 업무를 담당해온 김 학예연구사는 2013년 경기도청으로 발령온 뒤 문화유산과에서 전통문화유산 문화재 지정업무와 국가 등록문화재 신청 업무를 담당하게 됐다. 당시 국가 등록문화재 신청 업무를 맡다 보니 시·군에서 신청서를 제출해도 문화재청에서 심의 탈락하면 후속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등 문화재의 가치가 지속적인 보호·관리받지 못해 안타깝게 방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김 학예연구사는 그때부터 도내 근대문화유산 현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개선점을 찾아보게 됐다. “전통문화유산은 국가와 지자체에서 처음부터 관리가 잘되고 있지만 근대문화유산은 등록 절차에서 탈락하면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게 안타까웠어요. 2001년에 등록문화재 제도가 시행된 후 10년이나 지났지만 제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건의를 하게 됐죠,” 당시 도민들이 자신들의 추억과 기억이 담긴 옛 건물을 문화재로 지정하고자 했으나 아쉽게 탈락하게 되면서 근대문화유산 등록 제도를 꼭 도입시켜야겠다는 사명감을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김선미 학예연구사는 “도민들의 기억과 추억이 담긴 공간을 경기도에서라도 보호하고 보존해줘야 하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제도 개선에 더욱 힘쓰게 됐다”고 말했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김 학예연구사는 “당시 문화재 지정을 요청했던 도민들에게 탈락 소식을 알릴 때 너무 안타깝고 죄송스러웠다”며 “도민들의 기억과 추억이 담긴 공간을 경기도에서라도 보호하고 보존해줘야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제도 개선에 더욱 힘쓰게 됐다”고 말했다. 그렇게 근대문화유산 등록을 위해 관련 문서도 중앙부처에 보내고 문화재청이 개최하는 회의에도 참석해 건의도 했다. 정부 담당자가 바뀌실 때마다 1년에 서너 번씩 건의해온 결과 이번에 법령이 개정되는 결실을 보게 됐다. 김 학예연구사의 헌신이 빛을 발하던 순간이었다. 이번 제도 개선으로 도는 먼저 유형의 근대문화유산 실태조사와 목록화를 시작으로 내년까지 제1호 등록문화재 선정을 할 예정이며, 이후 근대 무형자산에 대한 조사와 보호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 학예연구사는 경기도에서 근대 무형자산까지 보호에 나서면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일이 될 거라고 했다. “경기도가 전국 지자체 최대 규모를 자랑하지만 항상 정체성에 대한 지적이 나왔었는데 이번 제도를 통해 도민과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그걸 토대로 정체성이 새로 만들어지고 도민 간의 유대감도 강해질 것”이라며 “이런 매개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이번 경기도 등록문화재 제도를 준비한 이유”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제도 개선에서 보듯이 앞으로도 경기도가 중앙부처에만 의지하는 것이 아닌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향후에도 경기도가 전국 최대 규모의 광역자치단체로서 선제적으로 제도 개선 등 변화를 이끌어 나갔으면 한다”며 의지를 다졌다. 한편, 도는 등록문화재 선정에 앞서 지난 15일부터 10월 말까지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근대문화유산 실태조사를 통한 목록화를 실시하고 있다. 10월 말부터 내년 6월 말까지는 도민들을 대상으로 개인 소장 근대문화유산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누구나 경기도 홈페이지(gg.go.kr)에 개설된 입력창에 근대문화유산의 명칭과 종류, 특징 등을 간단하게 기재하면 보유한 문화자원의 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의회 제346회 임시회 2차 본회의 개최
이전글 [추석 경기 살리기③] “지역화폐, 골목상권엔 마지막 ‘구원투수’”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